2024-11-05

일상을 뭉개버린 구글 블로그의 배신

구글블로그가 블로그인가 논문인가

모두들 하나쯤은 가지고 있던 블로그

일상의 작은것들을 기록하기도 하였던 블로그가 언제부턴가 논문이 되어 가고 있는거 같다.

내가 말하는 블로그는 구글의 색인을 도모하기 위한 블로그 글쓰기의 이야기이다.

쉽게 구글 색인이라고 검색만 해도 무수히 많이 나온다.

예를 들어 

"구글 색인이 안되요.." 

"내가 쓴 글의 몇천개가 구글에서 색인 안되고 있어요."

"색인이 겨우 3개 밖에 안되고 있어요."

이런 글들이 대부분이다... 이런 질문의 답글도 과관이 아니다.

컨텐츠 품질이 안좋다 라는 답글도 무수히 많다.

왜 블로그의 내용이 컨턴츠가 좋아야 하는지 의구심이 든다.

왠래 블로그는 논문이 아니다, 또한 논문이 되어서도 안된다.

블로그는 형식에 얼매이지 않고 구속을 받아서는 안되는게 블로그이다.

특히 컨턴츠의 품질이 좋고 안 좋고를 떠나서 나의 글을 인터넷에 알리고 싶은게 블로그이다

그런데 왜 구글은 왜 색인이 안되는것일까 ?

그래서 나는 여러가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중간 결과를 말하자면 티스토리는 구글에 색인, 노츨이 잘 되는 편이다.

하지만, 구글 블로그는 구글에 색인, 노츨이 제로에 가깝다....참으로 씁쓸하다.

어떨때는 내가 쓴 게시물이 5일도 안되어서 색인, 노출이 되는 경우가 있긴하다.

이런경우는 매우 이례적이다. 

그래서 그 게사물을 분석을 하였는데, 컨턴츠의 품질과는 별개였다.

또한 첨부된 사진의 크기와도 별개였다.

그럼 도대체 뭘까?  아직 몇가지 테스트를 진행중에 있다.

결과가 무척이나 기대된다..


꼭 구글 블로그의 게시물을 구글에 색인을 시켜보겠다는 의지가 점점 강해지고 있다.

혹시 이 글을 읽은 신 분들이 있다면 가급적 구글 블로그는 추천하지 않는다.


24110501,  Copyright2024_Jessica-GKR

2024-10-27

허리디스크, 체내에 있는 기생충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충제약이 허리디스크에도 효능이 있다.

 

구충제는 체내에 있는 기생충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입니다. 기생충 감염은 주로 소화계통에 영향을 미치며, 여러 종류의 기생충이 있습니다. 구충제는 이러한 기생충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허리디스크에도 효과가 있다는 언론 보도가 있습니다.

 

에스멕틴 주사는 유효성분 이버멕틴 주사입니다. S mectin : 네이버 블로그 

 

구충제 약의 종류

  1. 벤즈이미다졸계: 메벤다졸(Mebendazole), 알벤다졸(Albendazole)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은 기생충의 에너지원인 포도당 흡수를 차단하여 기생충을 죽입니다.
  2. 피페라진계: 피페라진(Piperazine)은 주로 회충과 편모충에 효과적입니다. 기생충의 신경계를 마비시켜 배출되도록 유도합니다.
  3. 모르포린계: 이버멕틴(Ivermectin) 같은 약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로 외부 기생충(예: 옴, 이란성 등)에 사용됩니다.
  4. 트리클로로폴계: 니클로사미드(Niclosamide)는 조충에 주로 사용됩니다. 기생충의 에너지원 대사를 방해합니다.
  5.  

사용 방법

구충제는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로 사용되며, 치료하고자 하는 기생충의 종류와 감염 정도에 따라 복용량과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부작용

구충제는 일반적으로 안전하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메스꺼움
  • 복통
  • 설사
  • 두통

Blog, 구글 블로그의 색인을 잘 할수 있도록 Robots.txt 작성 방법을 알아 봅시다.

 

Robots.txt 설정 방법 (작성 방법)

 

User-agent         하나의 로봇의 지정함

User-agent: *      모든 로봇을 허용험

User-agent: Mediapartners-Google      검색 로봇이 모든 URL 방문, 모든 디렉터리에 수집 접근 하는것을 허용함
Disallow:        모두 허단함,        봇에 의한 수집을 거부할 디렉토리

Disallow: /    모두 차단함,      봇에게 몇 가지 디렉토리 수집을 거부

Allow:      모두 허용함,      봇에 의한 수집을 허용할 디렉토리를 입력

Allow: /    모두 차단함,     모든 디렉토리에의 자료 수집 허용을 의미

Disallow

Disallow, Allow 경우 뒤에 폴더나 파일의 경로를 표시하며, 폴더는 반드시 슬래시(/) 기호로 끝나야 함.

Crawl-delay:    크롤링 주기. (초단위 사용) 서버부하 방지에 도움.  ( Googlebot은 무시함 )

                        봇에 의한 수집이 너무 자주 발생하지 않게 딜레이를 둘 수 있으며, 1~30의 값이 입력
Sitemap: https://your-blog-url/sitemap.xml   이뜻은 검색 엔진 로봇이 웹 사이트의 사이트맵을 참조하도록 하는 명령어

                                                                      사이트맵은 웹 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를 검색 엔진에게 알려주는 역할함.

 

 

**모든 검색엔진 허용.

User-agent: *

Allow: /

또는,

User-agent: *

Disallow:


예시

------------------------------------

# 모두 차단

User-agent: *

Disallow: /

------------------------------------

# 단, 아래 검색봇들은 허용

------------------------------------

 

# 구글 (Google)

User-agent: Googlebot

Allow: /

 

User-agent: Googlebot-Mobile

Allow: /

 

User-agent: Mediapartners-Google

Allow: /

 

# 네이버 (Naver)

User-agent: AdsBot-Naver

Allow: /

 

User-agent: NaverBot

Allow: /

 

User-agent: Yeti

Allow: /

 

# 다음 (Daum)

User-agent: Daum

Allow: /

 

User-agent: Daumoa

Allow: /

 

# 빙 (Bing)

User-agent: bingbot

Crawl-delay: 10

 

# 야후 (yahoo)

User-agent: Slurp

Crawl-delay: 10

 

User-agent: Yahoo-Slurp

Crawl-delay: 10

 

User-agent: Yahoo! Slurp

Crawl-delay: 10

 

# 줌 (zum)

User-agent: ZumBot

Crawl-delay: 10

 

# 사이트맵

Sitemap: https://자신의 블로그 주소/sitemap.xml

 

 

모든 크롤링은 허용하지 않지만 구글봇에게는 허용합니다.

User-agent: Googlebot 
Disallow:
User-agent:*
Allow: /
Sitemap: https://자신의 블로그 주소/sitemap.xml

 

 

모든 크롤링은 허용하지 않지만 구글봇에게는 허용합니다.

User-agent: Mediapartners-Google
Disallow:
User-agent:*
Allow: /
Sitemap: https://자신의 블로그 주소/sitemap.xml

 

1. 모든 검색봇 차단 

User-agent: * 
Disallow: /

 

 

2. 모든 검색봇 허용

User-agent: *
Allow: /

 

 

3. 구글봇 차단 (구글봇, 구글봇이미지, 구글봇모바일)

User-agent: Googlebot
Disallow: /


User-agent: Googlebot-Image
Disallow: /


User-agent: Googlebot-Mobile
Disallow: /
 

 

 

4. 네이버봇 차단

User-agent: Yeti
Disallow: /

 

Blog, 블로그 게시물과 사이드바 사이에 경계선을 만드는 코드

 

블로그 게시물과 사이드바 사이에 경계선을 만드는 코드


 

아래 그림의 화살표처럼 경계선을 나타냅니다.

 

 

 

삽입 위치는 [대시보드 → 템플릿 → 맞춤설정 → 고급 → CSS추가] 입니다.

게시물 사이드바  "오른쪽 "인 경우

 .fauxcolumn-right-outer .fauxcolumn-inner {  
   border-left: 2px solid #999999!important;  
 }  


'px'로 선의 굵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999999'라고 적혀있는 부분엔 자신이 원하는 색상의 코드를 적어줍니다.


 

 

사이드바가 왼쪽에 있는 경우엔 아래의 코드를 삽입해줍니다.

게시물 사이드바  "왼쪽 "인 경우

 .fauxcolumn-left-outer .fauxcolumn-inner {  
   border-right: 2px solid #999999!important;  
 }  


.main-inner .fauxcolumn-right-outer .fauxcolumn-inner {
  margin-left: $(content.padding);
  background: $(widget.outer.background.color) $(widget.outer.background.gradient) repeat scroll top left;
}

.main-inner .column-left-inner {
    margin-right: $(content.padding);  
}

.main-inner .fauxcolumn-left-outer .fauxcolumn-inner {
  margin-right: $(content.padding);
  border-right: 0px solid #999999!important;  
  background: $(widget.outer.background.color) $(widget.outer.background.gradient) repeat scroll top left;
}

.main-inner .column-left-inner {
  margin-left: -30px;
  margin-top: -13px;  
}
.main-inner .column-right-inner {

}

/* Posts
----------------------------------------------- */
h3.post-title {
  margin-top: 20px;
}

h3.post-title a {
  font: $(post.title.font);

허리디스크, 베게와 매트릭스가 허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베게와 매트릭스가 허리에 주는 영향에 대하여

 

 

옆으로 누워 자는 자세는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수면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자세에서 베개는 목과 척추의 정렬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적절한 베개 선택은 척추 건강을 유지하고, 수면 중 불편함을 줄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아래에서는 옆으로 누워 자는 자세에서의 세 가지 베개 유형과 그에 따른 척추 변화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높은 베개

  • 목이 짧거나 체중이 적은 경우, 베개가 너무 높아져서 목이 과도하게 올라가게 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높은 베개는 일반적으로 수면 중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목과 허리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2. 중간 높이의 베개

중간 높이의 베개는 가장 균형 잡힌 선택으로, 대부분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유형입니다. 특히 목을 받쳐주는 경추 베게는 척후의 자연스로운 정렬을 유지시켜줍니다.

장점:

  • 목과 어깨를 균형 있게 지지하여 척추의 자연스러운 정렬을 유지합니다. 이로 인해 수면 중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아침에 일어날 때의 경직함을 줄여줍니다.
  • 체중에 따라 적절히 눌리면서도 지지력을 제공하므로, 다양한 수면 자세를 지원합니다.

단점:

  • 체형이나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지지력이 부족하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추가적인 지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높이가 적절하지 않을 경우, 목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3. 낮은 베개

  •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용자에게는 지지력이 부족할 수 있으며, 목이 아래로 처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척추의 정렬이 무너져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비틀린 자세에서 자는 경우에는 목이 불편할 수 있으며, 이는 경추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결론

옆으로 누워 자는 자세에서 베개의 선택은 척추 건강과 수면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높은 베개는 강한 지지를 제공하지만, 모든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중간 높이의 베개는 가장 균형 잡힌 선택으로, 다양한 체형과 수면 자세에 잘 대응할 수 있습니다. 낮은 베개는 경량 사용자에게 적합하지만,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경우 지지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체형과 수면 습관에 맞는 베개를 선택함으로써 척추의 자연스러운 정렬을 유지하고, 통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편안하고 건강한 수면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침대의 경도는 척추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매트리스의 경도는 개인의 체형, 수면 자세, 선호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척추의 정렬을 유지하고 통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여기에서는 경도에 따른 세 가지 유형의 매트리스와 각각의 척추 변화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딱딱한 매트리스

딱딱한 매트리스는 높은 경도로, 체중이 많이 실리는 부분에 대한 지지가 강합니다. 이러한 매트리스는 등이 굽은 사람이나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람에게 적합할 수 있습니다. 딱딱한 매트리스는 척추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잘 유지하게 해주지만,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 체중이 적거나 몸이 작아 매트리스에 깊게 눌리지 않는 경우, 허리와 엉덩이가 제대로 지지되지 않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람들에게 척추 변형을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중간 경도의 매트리스

중간 경도의 매트리스는 적절한 지지와 편안함을 제공하는 균형 잡힌 선택입니다. 이 매트리스는 허리와 엉덩이를 충분히 지지하면서도, 몸의 곡선에 맞춰 적절히 눌립니다. 이는 다양한 수면 자세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일부 사용자에게는 지지력이 부족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체중이나 체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인 사람들에게 가장 좋은 매트리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부드러운 매트리스

부드러운 매트리스는 압력을 최소화하여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경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뼈와 관절에 부담을 줄이면서 편안하게 수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단점으로는 체중이 많이 나가는 사용자에게는 지지력이 부족해 허리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척추 정렬을 방해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람들에게 척추 변형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결론

침대의 경도는 척추 건강과 수면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딱딱한 매트리스는 강한 지지를 제공하지만, 모든 사용자에게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중간 경도의 매트리스는 다양한 체형과 수면 자세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균형 잡힌 선택입니다. 반면, 부드러운 매트리스는 편안함을 우선시하지만, 체중에 따라 지지력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체형과 수면 습관에 맞는 매트리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건강한 척추와 쾌적한 수면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Copyright 2024 - . | Jessica | All Rights Reserved.